About This Event...


오늘(12시가 지났으니 어제인가...) OpenStack 한국 커뮤니티와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가 함께 진행한 제 2회 한국 로컬 오픈스택 업스트림 트레이닝에 갔었습니다. 제 마음대로? 이 행사를 한줄로 요약하자면, "OpenStack에 기여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해보자!" 정도가 될 것 같네요. 실제로 Linux Command에 대한 지식만 조금 있다면 (없다면 Copy&Paste) 바로 진행 할 수 있을 정도로 내용부분이나 일정이 잘 짜여있어,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싶은 개발자, 번역가, 혹은 사용자가 있다면 참가해서 방법을 알아 갈 수 있는 좋은 행사인 것 같습니다.



행사 내용 & 후기


우선 전반적으로 OpenStack 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어디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관리는 누가 맡는지 관리자는 어떻게 선출하는지 등 전반적인 커뮤니티의 이해를 할 수 있었고, 버그 리포팅부터 수정, 리뷰까지 해볼 수 있는 세션이였습니다. 트레이닝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있습니다.


- Gerrit(Code Review System) 사용법

- Git 사용법과 Git으로 프로젝트 수정하기

- Launchpad를 활용한 버그리포팅과 관리

- OpenStack 커뮤니티의 업무 소통 방식 공유 ( IRC와 Mailing List, 그리고 Etherpad )

- OpenStack의 Summit, Forum 등의 Official 행사 설명


지금 기억나는 내용으로  이정도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이미 회사에서 GerritMantis라는 코드리뷰 툴과 버그트래킹을 쓰고 있고, 우분투 한글 번역일도 가끔 하고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일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Launchpad를 사용했었고, 회사에서 업무하는 환경 자체가 Linux 이다보니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꽤 수월했다고 봐야될 것 같네요. 이번 행사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된 것이 있다면 생각보다 IRC 채팅이 사용할만하다는 점과 오픈스택에 기여하는 방법의 진입장벽이 꽤 낮다는 점입니다.


행사를 참여하면서 드는 생각은 "왜 우분투 커뮤니티 쪽에는 이런 행사가 없을까?" 였습니다. 실제로 우분투도 매우 쉽게 사용자들이나 번역가, 개발자들이 기여를 할 수 있지만, 그걸 설명해주는 가이드는 아직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하여 이번 행사를 약간 밴치마킹하여... "Ubuntu Contribution Guide"를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물론 커뮤니티 차원에서 :)


이번 행사는 소수정예(?)로 진행된 덕인지 (30명 선발이였습니다), 집중도도 높았고 실제 Upstram Training 과정을 압축하여 약 6시간만에 끝낸 것에 비해서 굉장히 많은 것을 얻고 간 기분이였습니다. 특히 OpenStack에 기여해보고 싶다! 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었던 것 같네요. 좋은 행사를 진행해주신 OpenStack 한국 커뮤니티와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그리고 행사를 진행해주신 조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주의 ※

이 글은 작성자가 저장을 하지 않은 상태로 날린 후에 재작성한 글이라 작성자의 멘붕이 부분적으로 반영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Hello Node.js!


왜 이놈은 Django는 첫포스팅 후 아무것도 안써놓고, 다른 언어 포스팅을 시작하지? 라고 생각 하실수도 있는데,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허허허 회사 팀에서 스터디를 하는 바람에... 아무튼! 이번에는 일전에 포스팅 하였던 Django와는 약간 다른, Node.js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어서 이렇게 새로운 포스팅을 하기로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Django는 조금 미뤄둘 것 같네요 ㅠㅠ 그래도 Node.js와 Django는 올해안에 끝내는 것이 오늘의 목표입니다 :)


그럼 Django를 뒤로 미루고버리고 Node.js를 택한 이유는 무엇인고 하니, 위에 살짝 언급한대로 회사 팀 내에서 스터디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개인적으로 "시각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산출물을 만들 수 있는 언어를 배워보고 싶었던 욕망이 조금 있었습니다. 회사에서 다루는 언어는 C, Python, Shell Script 이렇게 3개 언어가 다고, 시각적으로는 로그 이외에는 볼 수 없는 CLI 환경에서 개발하다 보니, 시각적 산출물에 대한 니드가 개인적으로 생겼습니다. 해커톤이나 경진대회, 공모전 등에도 어플이나 웹을 짤 수 없으면 거의 참가가 힘들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조금씩 회사에서 쓰는 커널레벨이 아닌 유저레벨 단에서의 무언가도 좀 해보려고 이번에 Node.js를 배워보게 되었습니다.


Node,js를 배우기 위한 주 교제는 책으로 진행을 할 예정이고, 조금씩 추가자료가 필요하면 인터넷으로 검색 할 예정입니다. 책은 팀 스터디에서 아래의 책을 선정하여 챕터별로 개인 조사 후 발표를 스터디 운영방법으로 정해서, 제 개인 공부도 저 책을 주로 공부 할 예정입니다.


< Node.js 프로그래밍 :: 모던 웹을 위한, Node.js LTS 버전으로 배우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로그래밍 >

Link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756354



About Node.js!


Node.js는 도대체 뭣하는 녀석일까요? 사실 저도 잘 몰라요. 왜냐고요? 저도 Node.js책을 연지 아직 한시간이 안되었기 때문이죠... 사실 책을 펴기 전까지는 그냥 자바스크립트를 쓰는 것..? 웹사이트 만들 수 있는 것? 이런 언어의 한 종류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이걸로 무엇을 만들 수 있는지, 혹은 어떤 문법을 쓰는지, 내부동작은 어떻게 되는지 모두 몰랐던 상태였습니다. 책을 보니까, 특별히 강조 할 만한 내용은 "Node.js는 "스레드를 사용한 동기방식이 아닌, 이벤트를 사용하는 비동기 방식" 이라는 것을 알고가면 좋을 것 같네요. 그 외에는 아무 Node.js 책 1장을 보시면 나와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Node.js로 개발하기!


Node.js 개발환경도 저는 [Django] Django 배워보기 #1에서 했던 방법과 비슷하게 진행 할 예정입니다. AWS에 있는 개인 개발환경에서 개발을 하고, AWS에 있는 배포환경에 배포를 할 예정입니다. 배포환경은 앞으로 http://node-test.dry8r3ad.com 에 할 것 같습니다, 개발/배포를 위한 AWS 환경 세팅을 자세하진 않지만 간략하게 보고싶으신 분들은 [Django] Django 배워보기 #1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제가 산 책에서도 별도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Node,js는 Python의 PyCharm같은 언어에 최적화된 에디터/IDE가 없는 것 같네요. SSH로 붙어서 VIM 에디터로 개발을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